맨위로가기

하쿠레이 레이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쿠레이 레이무는 환상향과 외부 세계의 경계에 위치한 하쿠레이 신사의 무녀로, 요괴 퇴치와 이변 해결을 생업으로 삼는다. 단순하고 솔직한 성격으로, 인간과 요괴 모두에게 평등하게 대하며 스펠 카드 규칙을 제정하는 등 환상향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늘을 나는 능력과 결계 관련 능력을 지니고 있으며, 하쿠레이 신사의 무녀로서 하쿠레이 대결계를 관리하고 있다. 동방 프로젝트의 대표적인 인기 캐릭터로, 다양한 작품에 등장하며 팬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방 프로젝트의 등장인물 - 치르노
    치르노는 동방 프로젝트 시리즈에 등장하는 얼음의 요정으로, 냉기 조종 능력을 지니고 다양한 작품에서 활약하며, 특히 2차 창작곡인 '치르노의 퍼펙트 산수 교실'로 대중적인 인기를 얻어 여러 파생 작품과 활동에 영향을 미쳤다.
  • 동방 프로젝트의 등장인물 - 키리사메 마리사
    키리사메 마리사는 동방 프로젝트에 등장하는 마법사로, 마법의 숲에 살며 빗자루를 타고 다니고 특유의 마법과 수집벽을 지녔으며 하쿠레이 레이무와 친구이자 라이벌 관계를 이루는 인물이다.
  • 가공의 무녀 - 히구라시 카고메
    《이누야샤》의 주인공 히구라시 카고메는 키쿄의 환생인 현대 일본 여중생으로, 전국 시대로 이동하여 이누야샤와 사혼의 구슬 조각을 찾아 모험하며, 뛰어난 영력과 "앉아!" 언령, 조각 감지 능력으로 요괴를 정화하고, 나라쿠와의 싸움에서 세상을 구원하며 이누야샤와 함께 전국 시대에서 무녀로 살아간다.
  • 가공의 무녀 - 히노 레이
    히노 레이는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에 등장하는 히카와 신사의 무녀이자 불의 힘을 사용하는 세일러 마스로, 원작과 애니메이션에서 성격 묘사에 차이를 보인다.
  • 여자 비디오 게임 등장인물 - 모리건 앤슬랜드
    모리건 앤슬랜드는 1994년 격투 게임 《다크스토커즈》에 처음 등장한 서큐버스 캐릭터로, 마계 귀족 아서랜드 가문의 차기 당주이지만 마계 통치보다 인간계에서 쾌락을 추구하며, 아버지 베리얼에 의해 봉인된 강력한 마력을 지닌 인물이다.
  • 여자 비디오 게임 등장인물 - 라라 크로프트
    《툼 레이더》 비디오 게임 시리즈의 주인공인 라라 크로프트는 뛰어난 능력과 고고학적 지식을 갖춘 세계적인 모험가로, 다양한 미디어에서 활약하며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친 비디오 게임 역사상 가장 유명한 여성 캐릭터 중 하나이다.
하쿠레이 레이무 - [가상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동방감주전의 레이무
《동방감주전》의 레이무
종족인간
성별여성
거주지하쿠레이 신사
직업무녀
관계 인물키리사메 마리사(친구)
능력주로 하늘을 나는 정도의 능력
이름 정보
신자체박려 령몽
구자체박려 靈夢
가나하쿠레이 레이무
표준하쿠레이 레이무
통용하쿠레이 레이무
한국 한자박려 령몽
로마자 표기Hakurei Reimu
작품 정보
시리즈동방 프로젝트
첫 등장동방영이전 ~ Highly Responsive to Prayers.
창작자ZUN
기타 정보
별칭레이무
참고이 인물의 일본어 표기에는, 주로 다음과 같은 표기 흔들림이 있다.

2. 인물 배경

환상향 동쪽 끝, 바깥 세계와의 경계에 위치한 하쿠레이 신사[3]에 사는 무녀이다.[4] 하쿠레이 신사는 환상향과 바깥 세계를 나누는 하쿠레이 대결계를 관리하는 중요한 장소로,[2] 레이무는 이곳의 무녀로서 결계를 위협하는 이변 해결과 요괴 퇴치를 생업으로 삼는다.[2]

레이무는 환상향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존재로 여겨진다.[12] 환상향 내 인간과 요괴 사이의 힘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이 균형은 서로를 두려워하는 관계 속에서 유지된다.[2] 이 때문에 요괴들은 레이무를 직접 공격하거나 하쿠레이 신사 경내에 들어온 인간에게 싸움을 거는 것이 금지되어 있다.[2] 그러나 시간이 지나 요괴의 세력이 약해지고 인간을 습격하는 일이 줄어들자, 요괴 측에서 새로운 결투 규칙을 제안했다. 심심풀이로 이를 받아들인 레이무는 다양한 힘과 능력을 가진 인간과 요괴가 대등하게 싸울 수 있는 〈스펠카드 룰〉 제정에 동의했다.[21]

레이무는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지만, 평소에는 낮잠을 자거나 차를 마시는 등 유유자적한 생활을 즐기며 수행은 다소 등한시하는 편이다. 업무에 있어서는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규칙은 철저히 지키지만, 그 결과 자체에는 크게 신경 쓰지 않는 태도를 보인다.

하쿠레이 신사는 참배객이 거의 찾아오지 않아 새전 수입은 적은 편이다.[22] 하지만 이변 해결 등의 일을 통해 수입이 있어[23] 가난하지는 않으며 오히려 유복한 생활을 하고 있다.[24] 그럼에도 무녀로서 참배객과 새전에 신경을 쓰며,[25] 참배객을 늘리기 위해 새로운 방안을 고민하거나[26] 신사의 주신(主神)을 바꾸는 것을 검토하기도 했다. 과거에는 인간은 물론 요괴조차 접근하지 않을 정도로 인적이 드물었다고 한다.[27] 신사 의식에 술이 필요한 탓에 술에 대한 지식이 풍부하다.[28]

하쿠레이 무녀의 혈통에 대해서는 명확하지 않은 부분이 있다. 동방봉마록에서는 레이무를 '하쿠레이의 피를 잇는 자'라고 언급하지만, 동방맹월초 만화판에서는 새로운 무녀를 찾아야 한다는 대사가 등장하여 혈연으로만 계승되는 것인지 불분명하다. 레이무 자신도 하쿠레이 신사에서 어떤 신을 모시는지는 잘 알지 못한다.

2. 1. 성격

단순하지만 겉과 속의 구분이 거의 없는 성격으로, 희노애락의 변화가 심하다. 분노할 때도 장황하게 늘어놓는 편이 아니라 매우 짧게 끝내는 편이다. 인간과 요괴 모두의 마음을 끄는 알 수 없는 분위기의 소유자이다.[29][30] 주업무가 요괴 퇴치이기 때문에 요괴에 대해서는 엄한 태도를 취하지만, 정작 자신은 인간에게도 요괴에게도 그다지 흥미가 없다.[31] 누구에게도 상냥하지도 엄격하지도 않은 평등한 성격으로, 《동방맹월초》에서는 경내에 쓰러져 있던 요괴 토끼(라고 레이무가 생각하고 있는 레이센)를 돌봐주는 장면도 있다.

요괴 퇴치 자체는 꽤나 즐기기 때문에 오랫동안 이변이 일어나지 않을 때에는 조바심을 내는 모습을 보여준다.[32] 가끔씩 요괴의 사정을 전혀 봐주지 않고 퇴치하기 때문에 약한 요괴에게는 공포의 대상이나, 오히려 강한 요괴는 레이무를 좋아한다.[2] 또한 누구를 대할 때에도 친구 또는 동료로 보지 않기 때문에 쉽게 외톨이가 되며, 인간과 요괴 사이에서 겉도는 일이 많다.[33] 업무에 관해서는 무자비하며, 특히 이변 해결 중에 조우한 요괴나 요정은 무작정 퇴치한다.[34]

그럼에도 보통 낙관적이고 느긋한 성격이다. 노력의 보답을 믿지 않을뿐더러 한 가지 일에 몰두하는 것을 매우 싫어하며,[35] 앨리스 마가트로이드의 ‘상대보다 약간 우월한 능력만 발휘하며, 패배해도 전력을 다하지 않는’ 성격과 매우 닮아있다.[36] 제작자인 ZUN도 생각하는 바를 알기 어렵다고 말했지만, 『동방심비록 〜 Urban Legend in Limbo.』에서는 속마음을 엿볼 수 있다.[2]

2차 창작에서는 수행을 게을리하거나, 인간적인 면모, 귀차니스트 등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

2. 2. 능력

하쿠레이 레이무는 다양한 불가사의한 힘을 가지고 있다.[5][38]

주된 능력은 하늘을 나는 정도의 능력이다. 단순히 몸을 무중력 상태로 만들어 비행하는 것[30][23] 외에도, 물질이나 정신체 등에 대해 척력을 일으켜 공격을 받지 않고 피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사실상 무적 상태가 되기도 한다.[39] 이 능력의 정점은 몽상천생이라는 기술로, 모든 것으로부터 떠올라 투명인간과 같은 무적 상태가 되는 것이다. 만약 시간 제한이 있는 스펠 카드 규칙이 없다면 아무도 레이무를 이길 수 없다고 여겨진다.[6][7]

또한 영기를 다루는 능력도 뛰어나다. 선천적으로 강한 영력[51]과 재능[52]을 타고났으며, 영기(靈氣)를 방출하거나 이를 체술과 조합하여 사용한다.[51] 신선술도 사용할 수 있으며,[51] 하쿠레이의 혈통 덕분에 강력한 비보인 음양옥을 다룰 자격이 있다.[53] 하지만 타고난 능력에 비해 수행을 게을리하는 탓에[51] 악령 봉인이 금방 풀리거나[54] 음양옥을 제대로 다루지 못하고 오히려 휘둘리는 모습도 보인다.[51]
결계와 관련된 능력도 가지고 있다.[39] 스펠 카드를 통해 결계를 다루는 것 외에도, 특별한 준비 없이 유명결계(幽明結界)에 닿는 것만으로 소멸시키거나,[40] 임의로 하쿠레이 대결계를 느슨하게 만들 수 있다.[41][8]

맹월초』에서는 수행을 통해 신내림(신강림) 능력을 터득했다.[43] 『자향화』에서는 "신강림"이라는 능력을 수행하기 시작했다고 언급되는데,[8] 이는 신령을 자신의 몸에 깃들게 하여 신의 힘을 사용하는 능력이다.[8] 이 외에도 신과 관련된 능력으로, 『향림당』에서는 신의 힘을 빌려 역병을 봉쇄하거나,[8] 『요정대전쟁 ~ 동방 삼월정』에서는 신을 진정시키는 의식을 행하기도 했다.[8]

그 외에도 예리한 직감과 행운,[42] 모든 것을 받아들이는 능력,[42] 무의식적인 영시간이동이나 공격 자동 추적[42][29] 등 다양한 능력이 묘사된다. 물건에 깃든 신[43]이나 뼈에 깃든 혼[44]을 볼 수 있는데, 레이무 본인은 이것이 무녀이기 때문이라고 말한다.[44][9]

레이무는 특수한 체질 때문에 골치 아픈 사건에 자주 휘말리지만,[51] 수행보다는 빈둥거리기를 좋아하며 오히려 사건이 일어나기를 기대하는 면도 있다.[55] 다만 사건의 상당수는 마리사가 일으키는 것으로, 레이무는 애써 신경 쓰지 않으려 하면서도 자주 휘말리게 된다.[52]

2. 3. 외모

검은 머리에 붉고 큰 리본을 달고 있으며, 붉은색과 흰색이 조화된(홍백) 무녀복을 입고 있다.[2]
머리모양기본적으로 흑발이지만, 구작에서는 자주색 머리였다. 작품에 따라 머리 길이가 롱헤어, 세미롱헤어, 보브컷에 가까운 숏컷, 포니테일 등으로 다양하게 그려진다. 어떤 헤어스타일이든 머리에는 항상 붉고 큰 리본을 달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눈동자붉은빛이 도는 검은색 눈동자를 가지고 있다.[46]
복장붉은색과 흰색 조합의 무녀복을 입고 있다. 이 때문에 《동방홍마향》 4면에서는 파츄리 노우렛지에게 ‘거기 있는 홍백’이라고 불렸고, 《동방요요몽》 3면에서는 앨리스 마가트로이드에게 ‘어차피 무녀는 2색’이라는 말을 듣기도 했다.

상의에는 소매가 달려있지 않고, 대신 분리된 흰 소매를 착용하여 어깨와 겨드랑이 부분이 노출되는 독특한 디자인이다. 작품에 따라 스카프 색이나 무녀복의 세부 디자인에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하쿠레이 무녀로서의 기본적인 규정에서는 벗어나지 않는다.
신체원작자에 따르면 10대 초반의 이미지로 그려진다.[45] 키는 마리사보다 큰 편이다.[45] 작중 시간이 꽤 흘렀음에도 외모상 나이가 크게 변하지 않는 모습을 보인다.

3. 역할 및 활동

환상향 동쪽 끝, 바깥 세계와의 경계에 있는 하쿠레이 신사[3]에 사는 무녀이다.[4] 하쿠레이 신사는 환상향과 바깥 세계를 나누는 하쿠레이 대결계를 관리하기 위해 존재하며, 대대로 하쿠레이의 무녀는 이 결계를 위협하는 이변이 발생했을 때 이를 해결하고 요괴를 퇴치하는 역할을 맡는다.[2] 이 결계는 환상향 내에서 인간과 요괴가 서로 견제하며 만들어내는 힘의 균형으로 유지되는데,[2] 레이무는 이 균형을 깨뜨리려는 존재를 제거하며, 특히 요괴에게는 더욱 가차없는 모습을 보인다.[2] 이러한 역할 때문에 하쿠레이 신사와 하쿠레이의 무녀는 환상향을 유지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존재로 여겨진다.[12]

과거 '환상향 풍토기'에는 '하쿠레이 신사 제13대 무녀'가 남긴 것으로 추정되는 글이 있으며, 『봉마록』에서는 레이무를 '하쿠레이의 피를 잇는 자'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하지만 『맹월초』에서는 새로운 무녀를 찾아야 한다는 언급이 나오는 등 혈연 계승 설정이 명확하지는 않다. 레이무 자신은 정작 하쿠레이 신사에서 어떤 신을 모시는지는 잘 알지 못한다.

3. 1. 생업

환상향과 바깥 세계의 경계에 위치한 하쿠레이 신사에서 무녀로 일하고 있으며, 주된 생업은 요괴 퇴치와 이변 해결이다.[21] 레이무는 환상향에서 인간과 요괴 사이의 세력 균형을 유지하는 역할을 맡고 있는데, 이는 요괴가 인간을 습격하고 인간이 요괴를 퇴치하는 관계를 통해 이루어진다.[2] 환상향 유지에 필수적인 존재이기 때문에, 요괴들은 레이무를 직접 공격하거나 하쿠레이 신사 경내에서 인간에게 싸움을 거는 것이 금지되어 있다.[21]

요괴의 세력이 약해져 인간을 습격하는 일이 줄어들자, 요괴 측에서 제안한 결투 규칙 제정에 레이무도 심심풀이 삼아 동의했다. 그 결과, 힘과 능력이 다양한 인간과 요괴가 대등하게 싸울 수 있도록 하는 〈스펠카드 룰〉이 만들어졌다.[21] 업무 수행에 있어서는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규칙을 철저히 지키지만, 그 결과가 어떻게 되든 크게 신경 쓰지 않는 태도를 보인다.[21]

하쿠레이 신사에는 참배객이 거의 방문하지 않아 새전 수입은 적은 편이다.[22] 그러나 이변 해결과 같은 일[23] 덕분에 경제적으로는 부족함 없이 오히려 유복하게 생활하고 있다.[24] 그럼에도 무녀로서 참배객 수와 새전 액수에는 신경을 쓰고 있으며[25], 줄어드는 참배객을 늘리기 위해 새로운 신사(神事)를 고안하거나 신사의 주신(主神)을 술의 신으로 바꾸는 것을 검토하기도 했다.[26] 신사 근처에 간헐천과 온천이 솟아났을 때는 이를 이용해 참배객을 끌어모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기도 했다.[26] 과거 레이무가 활동하기 전에는 참배객은 물론 요괴조차 접근하지 않았다고 한다.[27] 신사 의식에 술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술에 대한 지식이 매우 풍부하며, 이 때문에 모리치카 린노스케는 레이무가 신사에서 직접 술을 빚을 것이라고 추측하기도 한다.[28]

3. 2. 스펠카드 룰 제정

환상향에서 요괴의 세력이 약해지고 인간을 습격하는 일이 줄어들자, 요괴들은 새로운 결투 규칙을 만들자는 제안을 했다. 레이무는 이 제안을 심심풀이 삼아 받아들였고, 힘과 능력이 서로 다른 인간과 요괴가 공평하게 대결할 수 있도록 하는 〈스펠 카드 룰〉을 만들었다.[21] 이 규칙은 요괴들과의 상담을 거쳐 레이무가 최종적으로 제정한 것이다.[10] 이를 통해 다양한 존재들이 힘의 차이에 구애받지 않고 겨룰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다.

3. 3. 서적 및 연재물에서의 활약

《향림당》, 《삼월정》 등 주인공이 별도로 존재하는 작품에서도 주요 인물로 자주 등장한다. 이들 작품 속 레이무는 이변 해결을 위해 '탄막놀이'를 하는 모습보다는, 게임에서는 보기 드문 일상생활이나 의식을 거행하는 등 무녀로서의 업무를 수행하는 모습이 주로 묘사된다. 다만 《맹월초》에서는 와타쓰키노 요리히메와 스펠카드 승부를 벌이는 등 예외도 있다.

《향림당》에서 레이무는 주인공인 모리치카 린노스케를 '린노스케 씨(霖之助さん)'라고 부른다. 일반적으로는 이름 대신 성인 '모리치카 씨(森近さん)'나 가게 이름인 '고린도(향림당) 씨(香霖堂さん)'로 부를 사이지만, 레이무의 성격상 친근하게 이름을 부르는 것으로 묘사된다.[45] 레이무는 린노스케가 운영하는 골동품점 '향림당'에 자주 놀러 온다.

《삼월정》에서는 빛의 세 요정(서니 밀크, 루나 차일드, 스타 사파이어)에게 장난의 대상이 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제1부 제2화 '미혹이 없는 무녀' 편에서는 서니 밀크가 강을 감추는 장난을 쳤을 때, 레이무는 무의식적으로 물고기를 밟고 강을 건너가는 방식으로 회피하기도 했다. 이 외에도 요정들의 장난에 걸려들어 낭패를 보는 모습이 자주 그려진다.

맹월초》에서 레이무는 야쿠모 유카리의 계획에 따라 달로 가는 로켓의 연료가 될 스미요시 삼신(住吉 三神)의 신내림을 받기 위해 수행한다. 이후 키리사메 마리사, 이자요이 사쿠야, 레밀리아 스칼렛과 함께 로켓을 타고 달로 건너가 와타쓰키노 요리히메와 대치하게 된다.

4. PC-98판 및 기타 작품

레이무는 ZUN이 제작에 관여한 PC-98판 시리즈, 동인 게임 《추상옥》, 상업 게임 《낙서 왕국》 시리즈 등 다른 작품에도 등장한다. 이들 작품에 등장하는 레이무도 기본적으로는 동일 인물로 취급된다. 그러나 원작자인 ZUN에 따르면, 홍마향을 기점으로 전체적인 설정을 크게 변경하였다고 한다.[47] 과거 설정이 현재의 환상향에서도 유효한지는 불분명하며,[48] ZUN은 홍마향 이전 작품의 설정을 신경 쓰지 않고 이후 작품을 즐기는 것이 좋다는 취지로 발언하기도 했다.[49]

4. 1. PC-98판

동방 프로젝트의 제1탄부터 제5탄까지 해당하는 PC-98판 게임들에서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이때의 이름 표기는 Windows판의 '霊夢'가 아닌 구자체 한자인 '''靈'''夢으로 쓰였다(발음은 같다). Windows판과는 복장이나 머리카락 색깔이 다르지만, 느긋하고 태평하며 수행을 게을리하는 성격은 이때부터 동일했다. 초기에는 전통적인 무녀복을 입었으나, 5번째 작품인 괴기담부터는 하의 부분이 진홍색 스커트로 변경되었다. PC-98판에서는 하늘을 나는 능력이 없었기 때문에[50] 거북이 '겐야'(玄爺)를 타고 이동했다. 환상향에서는 플레이어 캐릭터로 마리사를 선택했을 경우 4면 보스로 등장하기도 한다.

4. 2. 추상옥

동인 서클 〈瞬殺サレ道?〉가 제작한 슈팅 게임 서방 프로젝트 제1탄 《추상옥》에 게스트 캐릭터로 등장했다. 이는 동방 프로젝트의 원작자인 ZUN이 《추상옥》 제작에 참여했기 때문이다. 이때 등장한 레이무는 현재 모습에 가까우며, 이름 표기도 PC-98판에서 사용된 번체자 '靈夢'가 아닌, 현재와 같은 약자 '霊夢'로 표기되었다.

4. 3. 라쿠가키 왕국

타이토가 제작한 게임 《낙서 왕국》 시리즈는 동방 프로젝트의 원작자인 ZUN이 개발에 참여한 작품이다. 이 게임에는 '하쿠레이의 무녀(ハクレイのミコ)'라는 이름의 숨겨진 캐릭터가 등장하는데, 이는 레이무를 모델로 한 것이다. 해당 캐릭터의 디자인은 상하이 앨리스 환악단 설립 이전의 구작 시절 레이무를 모티브로 하고 있다. 게임 내 스태프 롤에는 '제작자: ZUN'이라고 명확히 표기되어 있다. 레이무의 대표적인 스펠 카드인 '몽상봉인(夢想封印)'은 이 작품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다. 또한, 게임 설명서에는 개발 단계의 스크린샷이 사용되었으며, 여기에는 해당 캐릭터의 이름이 '사요짱'으로 기재되어 있었다.

5. 음양옥

레이무의 주요 장비 중 하나로, 음양 태극도 모양을 한 구체이다. 작품에 따라 여러 개가 나타나기도 하고, 하나만 존재하는 것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PC-98 시절 게임에서는 하쿠레이 신사 최대의 비보로 여겨졌다. 영력이 깃든 불가사의한 광석으로 만들어진 구슬로 추정되며, 겉보기에는 단순한 구슬이지만 하쿠레이 혈통이 사용하면 무한한 영력을 발휘한다고 한다.[13] 정체는 불분명하지만 강대한 영력을 지니고 있어, 어떤 영혼이 깃들어 있거나 생명체일 가능성도 제기된다. 영체나 마성은 음양옥과 같이 영력이 있는 무기로만 쓰러뜨릴 수 있다.[14] 미마에 따르면, 하쿠레이의 혈통인 레이무만이 다룰 수 있으며, 사용자의 힘에 영향을 받아 그 힘을 흡수했다가 충족되면 궁극의 힘을 방출하고 다시 흡수를 시작하는 과정을 반복한다.[15] 레이무는 하쿠레이 혈통 덕분에 음양옥을 다룰 수 있지만[53], 수행 부족 탓인지 때로는 음양옥을 제대로 다루지 못하고 오히려 휘둘리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51]

『동방영이전』의 굿 엔딩에서는 마계 루트에서 요정으로, 지옥 루트에서는 산책(타케모토 이즈미 작품의 등장인물)으로 변하는 모습을 보인다. 반면 배드 엔딩에서는 대폭발을 일으키거나 지구를 소멸시킨 후, 배경에 레이무와 함께 '거짓'이라는 붉은 글자가 나타난다. 『동방봉마록』의 굿 엔딩에서는 겐지가 하쿠레이의 힘은 음양옥의 '진정한 힘'을 이끌어내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한다. 이 '진정한 힘'은 고기동 타입에서는 냄새를 선택할 수 있는 방향제, 방어 타입에서는 단것을 먹어도 살찌지 않는 능력, 공격 타입에서는 돌봄이 필요 없는 고양이로 묘사된다.

『동방홍마향』 이후의 Windows 작품에서도 레이무의 장비로 꾸준히 등장한다. 특히 『동방지령전』에서는 지하로 내려가는 레이무를 위해 야쿠모 유카리가 지상과의 원격 통신 기능을 추가해주었다. 이 기능은 이후에도 유지되었으나, 『동방 삼월정』 제3부 10화에서 유카리가 지적하기 전까지 레이무 본인은 그 사실을 모르고 있었다. 같은 작품 17화에서는 음양옥이 하쿠레이 신사의 신체일 가능성이 시사되기도 했다.

6. 관련 인물


  • '''키리사메 마리사''': 동방 프로젝트의 또 다른 주인공이자 마법사. 모리치카 린노스케가 보기에는 레이무와 사이가 좋은 친구이다.[16] 게임 본편에서는 각자 요괴 퇴치를 하며 때로는 서로 방해가 된다고 여겨 충돌하기도 하지만, 서적 작품에서는 함께 요괴 퇴치를 하거나 위험을 경고하는 등 협력하는 모습을 보인다. 마리사는 "~다제"나 "~까?" 같은 독특한 말투를 사용한다.
  • '''야쿠모 유카리''': 환상향을 창설한 요괴 현자 중 한 명으로, 레이무의 든든한 협력자이다. 게임 영야초에서는 레이무의 파트너로 등장하여 함께 이변을 해결했다.
  • '''와타츠키노 요리히메''': 허월초에 등장하는 달의 지도자 중 한 명이다. 레이무처럼 신을 자신에게 내리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작중에서는 레이무가 내린 신보다 더 높은 격의 신을 내리는 모습을 보였다.
  • '''선대 하쿠레이 무녀''': 레이무 이전에 하쿠레이 신사의 무녀였던 인물이다. 2003년 12월 코믹 마켓 65에서 배포된 팸플릿 "상하이 앨리스 통신 ver 2.7"에 실린 모리치카 린노스케의 회상에서 처음 언급되었다. 린노스케는 그녀의 이름을 잊었으며, 주로 "하쿠레이의 무녀" 또는 "무녀"라고 불렸다고 한다. 린노스케는 선대 무녀가 안정을 추구하고 실력을 인정받았지만, 그 때문에 개성이 드러나지 않았다고 평가했다.
  • '''겐지''': 게임 봉마록부터 괴기담까지 등장했던 하늘을 나는 거북이다. 당시 하늘을 날 수 없었던 레이무의 이동 수단으로 활약했다.

7. 테마곡


  • '''동방요연담''' (東方妖恋談|토호요렌단일본어)
  • * 『동방몽시공』에서 사용된 테마곡이다. 『동방췌몽상』, 『동방비상천』에서도 어레인지 버전이 사용되었지만, 이는 ZUN이 직접 어레인지한 곡은 아니다. 『몽시공』 대전 시에 사용된다.
  • '''소녀기상곡 ~ Capriccio''' (少女綺想曲|쇼조키소쿄쿠일본어)
  • * 『동방환상향』의 4면 보스 테마곡이다. 동방요연담과 마찬가지로, 『동방췌몽상』과 『동방비상천칙』에서 사용된 어레인지 버전은 ZUN이 직접 만든 것이 아니다. 『동방환상향』 4면 보스전에서 사용된다.
  • '''이색연화접 ~ Ancients''' (二色蓮花蝶|니시키렌카초일본어)
  • * 서방 프로젝트의 작품인 『추상옥』에서 사용된 곡이다. ZUN의 앨범 《봉래인형 ~ Dolls in Pseudo Paradise》에는 이 곡을 어레인지한 《이색연화첩 ~ Red and White》가 수록되어 있다. 『추상옥』 엑스트라 스테이지 보스전에서 사용된다.
  • '''소녀기상곡 ~ Dream Battle'''
  • * 『동방영야초』의 4면(Stage4 uncanny) 보스 테마곡이다[17]. 위에 언급된 〈소녀기상곡 ~ Capriccio〉를 ZUN이 직접 어레인지한 버전이다.
  • '''춘색소경 ~ Colorful Path''' (春色小径|슌쇼쿠코미치일본어)
  • * 『동방화영총』에서 사용된 테마곡이다. 『동방심기루』에서도 어레인지 버전이 사용되었다. 『화영총』 대전 시에 사용된다.
  • '''세계는 귀엽게 만들어져 있어''' (世界は可愛く出来ている|세카이와 카와이쿠 데키테이루일본어)
  • * 『동방수왕원』에서 사용된 테마곡으로, 대전 시에 사용된다.

8. 스펠카드

레이무는 다양한 종류의 스펠 카드를 사용하며[5], 이는 그녀가 지닌 여러 신기한 능력들과 깊은 관련이 있다.[38] 특히 결계를 다루는 능력[8]이나 모든 것으로부터 떠올라 무적 상태에 가까워지는 능력[6][7] 등은 스펠카드를 통해 발현되기도 한다. 대표적인 스펠카드로는 영부 「몽상봉인」, 몽부 「이중 결계」, 몽부 「봉마진」 등이 있으며, 작품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존재한다. 이러한 스펠카드들은 레이무의 능력과 성장을 보여주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8. 1. 몽상봉인 계열

〈몽상봉인(夢想封印)〉은 하쿠레이 레이무의 대표적인 스펠카드 중 하나로, 여러 작품에 걸쳐 다양한 변형이 존재한다. 《The Grimoire of Marisa》에 따르면, 이는 물리 법칙을 무시하는 빛의 탄으로, 유형과 무형을 가리지 않고 모든 것을 봉인하는 힘을 지녔다고 설명된다. 이 기술의 이름이 처음 등장한 것은 원작자 ZUN이 개발에 참여한 게임 《라쿠가키 왕국》이다.

  • '''영부(霊符) 〈몽상봉인〉'''

:: 주로 레이무가 《영부》 타입을 선택했을 때 사용할 수 있는 스펠카드이다. 상대를 추적하는 유도탄이자 섬광탄의 성격을 띠며, 공격 범위가 넓고 위력이 강하다.

  • '''영부 〈몽상봉인 집(集)〉'''

:: 기본적인 성격은 영부 〈몽상봉인〉과 유사하다.

  • '''영부 〈몽상봉인 산(散)〉'''

:: 몽상봉인을 여러 갈래로 흩뿌리는 산탄 형태로 발사한다. 공격 범위는 넓지만 개별 탄의 위력은 약하다. 《영야초》에서 보스로 등장할 때는 〈최강의 직구승부〉라는 평가[56]에 걸맞게, 레이무를 중심으로 전방위에 걸쳐 고속으로 탄막을 방사하는 형태로 변화한다.

  • '''영부 〈몽상묘주(夢想妙珠)〉'''

:: 《영야초》, 《췌몽상》, 《비상천》에서 사용되었다.

  • '''신령(神霊) 〈몽상봉인〉'''

:: 《췌몽상》 및 《비상천》에서 사용된다. 부적을 두 장 사용하여 위력과 성능이 강화된 버전이다.

  • '''산령(散霊) 〈몽상봉인 적(寂)〉'''

:: 《영야초》의 하드(Hard) 난이도 이상에서 보스로 등장할 때 사용한다.

  • '''회령(回霊) 〈몽상봉인 차(侘)〉'''

:: 《영야초》의 하드(Hard) 난이도 이상에서 보스로 등장할 때 사용한다.

  • '''신령 〈몽상봉인 순(瞬)〉'''

:: 《영야초》에서 사용되는 라스트 스펠(Last Spell)이다. 위력이 매우 높다.

  • '''〈몽상천생 (夢想天生)〉'''

:: 《영야초》 및 《비상천》에서 등장하는 궁극기이다.

::* 《영야초》에서는 라스트 워드(Last Word)로 등장하며, 회피에 중점을 둔 스펠카드이다.

::* 《비상천》에서는 특정 '''발동 조건을 만족'''하면 무차별적으로 큰 피해를 주는 필살기급 스펠카드로 사용된다.[57]

:: 《The Grimoire of Marisa》에서는 이 기술을 사용하면 레이무가 반투명 상태가 되며, 눈을 감고 있어도 탄막이 자동으로 적을 추적하는 궁극적인 필살기로 묘사된다. 마리사는 이 기술을 '타고난 능력을 지닌 레이무 외에는 사용할 수 없는 스펠카드'라고 평가했다. 원래 스펠카드는 아니었으나, 마리사가 이름을 붙여주면서 스펠카드로 취급하게 되었다고 한다.

:: 이름은 만화 《북두의 권》에 등장하는 북두신권의 궁극오의 〈무상전생(無想転生)〉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58]

8. 2. 결계 계열


  • '''몽부(夢符)〈봉마진(封魔陣)〉'''

플레이어가 레이무의 〈몽부〉 타입을 선택했을 때 주로 사용할 수 있는 스펠카드이다. 화면 전체의 적에게 피해를 주지만 위력은 비교적 약한 편이다.

  • '''몽부〈이중결계(二重結界)〉'''

피해량은 높지만 공격 범위가 매우 좁다는 단점이 있다.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적에게 상당히 근접해야 할 때도 있다.

  • '''신기(神技)〈팔방귀박진(八方鬼縛陣)〉'''

몽부 〈봉마진〉의 상위 버전으로 볼 수 있는 스펠카드이다. 《동방영야초》에서는 하드(Hard) 이상의 높은 난이도에서 레이무가 사용한다.

  • '''신기〈팔방용살진(八方龍殺陣)〉'''

《동방영야초》의 루나틱(Lunatic) 난이도에서 보스로 등장하는 레이무가 사용하는 스펠카드이다.

  • '''몽경(夢境)〈이중대결계(二重大結界)〉'''

《동방영야초》의 하드(Hard) 이상 높은 난이도에서 보스로 등장하는 레이무가 사용하는 스펠카드이다.

  • '''경계(境界)〈이중탄막결계(二重弾幕結界)〉'''

《동방영야초》에서 보스로 등장하는 레이무가 사용하는 스펠카드이다.

  • '''대결계(大結界)〈하쿠레이 탄막결계(博麗弾幕結界)〉'''

《동방영야초》의 하드(Hard) 이상 높은 난이도에서 보스로 등장하는 레이무가 사용하는 스펠카드이다.

8. 3. 기타 스펠카드

; 보부(宝符)〈음양보옥(陰陽宝玉)〉

: 《췌몽상》, 《비상천》에서 사용한다. 음양옥을 내밀어 공격하는 기술이다.

; 보구(宝具)〈음양귀신옥(陰陽鬼神玉)〉

: 《췌몽상》, 《비상천》에서 사용한다. 보부 〈음양보옥〉의 강화판이다.

; 영부(霊符)〈음양인(陰陽印)〉

: 《화영총》에서 사용한다. 상대방 필드에 탄막을 발사하여 방해하는 기술이다.

; 영부〈하쿠레이 환영(博麗幻影)〉

: 《화영총》에서 사용한다. 상대방 필드에 보스 어택을 보낸다.

; 제1부적(符の壱)〈몽상묘주련(夢想妙珠連)〉

: 《췌몽상》 스토리 모드에서 적으로 등장했을 때 사용한다.

; 제2부적(符の弐)〈음양산화(陰陽散華)〉

: 《췌몽상》 스토리 모드에서 적으로 등장했을 때 사용한다.

; 제3부적(符の参)〈마정섬결(魔浄閃結)〉

: 《췌몽상》 스토리 모드에서 적으로 등장했을 때 사용한다.

; 역부(力符)〈음양옥장(陰陽玉将)〉

: 《췌몽상》 스토리 모드에서 적으로 등장했을 때 사용한다.

; 몽전(夢戦)〈환상지월(幻想之月)〉

: 《췌몽상》 이부키 스이카 스토리 모드에서 적으로 등장했을 때 사용한다.

; 무제(無題)〈하늘을 나는 신기한 무녀(空を飛ぶ不思議な巫女)〉

: 《췌몽상》 이부키 스이카 스토리 모드에서 적으로 등장했을 때 사용한다.

; 주부(珠符)〈명주암투(明珠暗投)〉

: 《비상천》에서 사용한다. 화면 가장자리에 부딪혀 반사되는 음양옥을 발사한다.

; 신기(神技)〈천패풍신각(天覇風神脚)〉

: 《비상천》에서 사용한다.

; 기원(祈願)〈액막이 기원(厄除け祈願)〉

: 《비상천》 스토리 모드에서 적으로 등장했을 때 사용한다.

; 보부〈춤추는 음양옥(躍る陰陽玉)〉

: 《비상천》 스토리 모드에서 적으로 등장했을 때 사용한다.

; 광령(光霊)〈신령보주(神霊宝珠)〉

: 《비상천》 스토리 모드에서 적으로 등장했을 때 사용한다.

; 〈경계의 안쪽으로 숨어드는 영과 신기한 무녀(境界の内側に潜む霊と不思議な巫女)〉

: 《비상천》 샤메이마루 아야, 히나나이 덴시 스토리 모드에서 적으로 등장했을 때 사용한다.

; 몽부(夢符)〈환상일중(幻想一重)〉

: 동인 서클이 발행한 《동방 라스트워드 콜렉션》에서 ZUN이 기고한 카드에 기재된 스펠카드이다.

; 영격(霊撃)

: 스펠카드인지 여부는 불분명하지만 편의상 여기에 분류한다. 《췌몽상》, 《풍신록》에서 사용 가능한 능력이다. 《풍신록》에서는 옵션을 소비하는 대신 봄(bomb) 형태로 발동한다. 또한 PC-98 시절 레이무가 사용했던 봄 역시 영격(霊撃)이라는 이름이었다.

  • 경계 「이중 탄막 결계」
  • 신기 「팔방 귀박진」
  • 영부 「몽상봉인」
  • 신령 「몽상봉인 찰나」
  • 무제 「하늘을 나는 불가사의한 무녀」
  • 보구 「음양귀신옥」
  • 몽부 「이중 결계」
  • 몽부 「봉마진」
  • 「몽상천생」

8. 4. 신내림

레이무는 《동방맹월초》에서 야쿠모 유카리의 부추김으로 '신내림'이라는 능력을 수행하기 시작했다.[59] 본래 신내림은 강신무(降神巫)를 추어야 하지만, 유카리가 레이무에게 가르친 방식은 강신무 없이 행하는 〈부정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59] 이 능력은 신의 정기, 성격, 성질 등을 나타내는 신령을 자신의 몸에 깃들게 하여 해당 신의 힘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현재까지는 《동방맹월초》에서만 사용한 모습이 확인되었으며, 게임 내에서는 구현되지 않았다. 『허월초』에서는 이 능력을 "신강림"이라고도 언급한다.

신내림 외에도 레이무는 신과 관련된 여러 의식을 행한다.

  • 도모노 요시오(伴善男) 봉인: 《동방향림당》 제22화에서 유행신(流行神)으로 만들기 위해 오래된 호리병 파편에 도모노 요시오를 깃들게 했다. 이는 역병을 옮기는 재앙신으로서 일시적으로 신앙을 모아 봉인한 뒤, 사람들에게 잊히게 함으로써 역병 자체를 소멸시키는 방식이다. 과거에는 원한 때문에 재앙신이 되었지만, 현재는 역병 재앙신이라는 역할을 받아들이고 순순히 봉인되는 신도 있다고 한다.
  • 아메노카가세오미코토(天香香背男命) 봉인 의식: 《동방삼월정》 제2부 제15~16화에서는 신년 일출 시, 밤을 상징하는 샛별(금성)의 신인 아메노카가세오미코토의 힘을 봉인하는 의식을 거행했다. 이는 낮을 상징하는 태양의 신 아마테라스 오미카미가 샛별의 신에게 승리하도록 돕는 의식이다. 만약 이 의식에 실패하여 샛별이 계속 빛나면, 그 해는 요괴의 힘이 강해지는 어둠의 해가 된다고 전해진다. 레이무는 매년 이 의식을 성공적으로 수행해왔다.
  • 어느 해에는 키리사메 마리사와 빛의 세 요정이 서니 밀크의 힘을 이용해 가짜 샛별을 만들어 레이무를 당황시키는 장난을 쳤다. 한편 홍마관의 레밀리아 스칼렛과 파츄리 널리지는 샛별을 아메노카가세오미코토가 아닌 루시퍼의 별로 여기고, 가짜 샛별이 계속 빛나는 것을 보고 기뻐하기도 했다.
  • 《동방맹월초》에서는 와타쓰키노 요리히메가 별의 신인 아마쓰 미카보시(天津甕星)를 소환했는데, 현재 아마쓰 미카보시는 아메노카가세오미코토의 다른 이름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레이무가 신내림을 통해 불러낸 신들은 다음과 같다.

신 이름등장 작품설명
아마노이와토와케노미코토(天石門別命)《만화판 동방맹월초》 제1화신내림 수련 중 야쿠모 유카리를 상대로 사용했다. 큰 구멍을 내는 능력을 보였으나, 유카리는 이를 단순히 약한 환각에 불과하다고 평가했다. 이나바 테위는 이 신을 그리운 신님이라고 언급했다.[60]
스미요시 삼신(住吉三神)《동방맹월초》홍마관 식구들이 만든 로켓의 연료로 사용하기 위해 부린 항해의 신들이다. 우와쓰쓰노오노미코토(上筒男命), 나카쓰쓰노오노미코토(中筒男命), 소코쓰쓰노오노미코토(底筒男命) 세 명을 통틀어 스미요시씨라고 부른다. 레이무는 이 세 신을 한꺼번에 소환하기 위해 드물게 열심히 수행하는 모습을 보였다.
오호마가쓰히노카미(大禍津日神)《동방맹월초》와타쓰키노 요리히메와의 스펠 카드 대결에서 비장의 무기로 사용한 더러움(穢れ)의 신이다. 더러움을 극도로 싫어하는 달의 도시와 그곳을 지키는 요리히메에게 상당한 위협이 되었으나, 요리히메가 부린 무녀 모습의 신 이즈노메(伊豆能売)에 의해 모든 더러움이 정화되었다. 레이무는 무녀 모습의 신의 존재에 대해 크게 놀랐다.


9. 평가

대만 행사 Petit Fancy 26에서의 하쿠레이 레이무 코스프레


레이무는 코미케 Plus 편집부가 코믹 마켓 89 행사장에서 실시한 인기 캐릭터 랭킹에서 24표를 얻어 2위를 차지했다[18]. 코믹 마켓 100을 기념하여 실시된, 좋아하는 캐릭터 3명에게 투표하는 인기 투표에서는 1위를 차지했다[19]. 이드가 운영하는 웹사이트 '애니! 애니!'의 독자 앙케이트에서는 무녀 또는 신관 캐릭터 부문에서 2년 연속 1위를 달성했다[20].

참조

[1] 웹사이트 今日から始める「東方Project」。「東方紅魔郷」から「東方鬼形獣」まで,Windowsで遊べる17タイトルを一挙紹介 https://www.4gamer.n[...] Aetas 2022-12-31
[2] 서적 東方外來韋編 Strange Creators of Outer World. Volume.1 KADOKAWA 2015-09-30
[3] 서적 東方外來韋編 Strange Creators of Outer World. 2019 Autumn! KADOKAWA 2019-10-20
[4] 서적 メガミマガジン 2022年12月号 https://www.google.c[...] イード 2022-10-28
[5] 게임 『妖々夢』付属の「キャラ設定.txt」
[6] 게임 『永夜抄』スペルプラクティス「カードの補足」No.215
[7] 서적 『The Grimoire of Marisa』
[8] 만화 『香霖堂』単行本第11話
[9] 만화 『香霖堂』単行本第10話
[10] 서적 『求聞史紀』
[11] 만화 『香霖堂』単行本第二十七話
[12] 서적 『求聞史紀』
[13] 게임 『封魔録』同梱の「封魔録.TXT」
[14] 게임 『靈異伝』同梱の「靈異伝.TXT」
[15] 게임 『封魔録』5面
[16] 만화 『香霖堂』単行本第1話
[17] 웹사이트 粗品さんの東方愛のクセが強い。「『少女綺想曲』はお笑い的に最強のシステム」「(地上波で)東方の曲でネタをやりたかった」─「東方ステーション」で語られたエピソードを紹介 https://news.nicovid[...] ドワンゴ 2021-08-06
[18] 간행물 人気キャラクターランキングBEST10 エックスワン 2016-07-28
[19] 간행물 東方キャラクター人気ランキング エックスワン 2022-08
[20] 웹사이트 “巫女・神主”キャラといえば? 3位「原神」八重神子、2位「犬夜叉」桔梗、1位は「東方Project」博麗霊夢<23年版> https://animeanime.j[...] イード 2023-01-03
[21] 서적 《구문사기》
[22] 게임 《홍마향》4면에서의 대화, 《요요몽》부속 〈キャラ設定.txt〉등, 《지령전》5면에서 유카리와 대화할 때 신사의 재정은 쪼들리는 편이라고 말한 적이 있다.
[23] 서적 《구문사기》
[24] 웹사이트 《환상게시판》 https://web.archive.[...] 2002-10-26
[25] 게임 《췌몽상》에서는 이자요이 사쿠야에게 '근사한 새전함은 여기야'라고 말한 것과, 앨리스 마가트로이드에게 '부업으로 인형공양을 하면 돈을 벌지 않을까?'라고 말한 것 등.
[26] 게임 《지령전》
[27] 만화 《향림당》제24화
[28] 만화 《향림당》 제20화
[29] 게임 《췌몽상》부속 〈上海アリス通信.txt〉
[30] 게임 《영야초》부속 매뉴얼
[31] 게임 《풍신록》부속 〈キャラ設定.txt〉
[32] 만화 《만화판 맹월초》제17화 〈27과3분의1의 함정〉
[33] 게임 《영야초》부속 〈キャラ設定.txt〉,《맹월초》에서 와타쓰키노 요리히메와 대치했을 때에도 같은 편이었던 키리사메 마리사,레밀리아 스칼렛, 이자요이 사쿠야와 협력하는 모습을 보여주지 않았다.
[34] 서적 《삼월정》에서 서니 밀크의 말과 《문화첩(서적)》에서 샤메이마루 아야의 말을 따왔다.
[35] 게임 《요요몽》부속 매뉴얼
[36] 게임자료 《요요몽》부속 〈キャラ設定.txt〉의 앨리스 마가트로이드 항목
[37] 게임자료 《삼월정》제2부 제7화
[38] 게임자료 《요요몽》부속〈キャラ設定.txt〉
[39] 게임자료 《영야초》〈몽상천생〉스펠카드 코멘트
[40] 게임자료 《요요몽》레이무 시나리오 5면, 마리사(연부;恋符) 엔딩
[41] 게임자료 《향림당》제11화 〈자주색을 뛰어넘는 빛〉
[42] 게임자료 《향림당》제3화 〈환상의 새〉
[43] 게임자료 《향림당》제22화 〈유행하는 신〉
[44] 게임자료 《향림당》제1화 〈무연총의 피안화〉
[45] 웹사이트 ZUN의 답장 메일 http://www5d.biglobe[...]
[46] 게임자료 《홍마향》,《요요몽》,《영야초》의 스탠딩 CG
[47] 웹사이트 환상게시판 2003년5월28일자 투고 https://web.archive.[...]
[48] 웹사이트 환상게시판 2003년8월1일자 투고 https://web.archive.[...]
[49] 웹사이트 환상게시판 2003년8월1일자 투고 https://web.archive.[...]
[50] 강연자료 메이지 대학 강연회 〈동방의 새벽〉
[51] 게임자료 《영이전》부속 〈靈異伝.TXT〉
[52] 게임자료 《추상옥》부속 〈創曲幻想.txt〉
[53] 게임자료 《봉마록》5면
[54] 게임자료 《봉마록》엔딩
[55] 게임자료 《몽시공》부속〈夢時空.TXT〉
[56] 게임자료 《영야초》스펠카드 코멘트
[57] 게임자료 《비상천》
[58] 게임자료 《영야초》ZUN의 스펠 설명
[59] 소설 《소설판 맹월초》제6화, 제8화
[60] 소설 《소설판 맹월초》제1화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